Git 3.0에서 기본 브랜치가 “main”로 바뀐 이유와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2025년 11월 22일
Git 3.0에서 기본 브랜치가 “main”로 바뀐 이유와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Git 3.0이 출시되면서 기본 브랜치가 “master”에서 “main”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2024년 GitHub, GitLab 등 주요 플랫폼이 “master”를 “main”로 교체한 추세를 반영합니다. 직장인 개발자나 팀이 기존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라면, 이 변경이 가져올 영향과 대응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왜 “main”이 기본 브랜치가 되었나?
Git 3.0은 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려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합니다. 2024년 GitHub 설문조사에 따르면, 62%의 사용자가 “master” 대신 “main”을 선호했습니다. 이로써 신규 프로젝트 생성 시 자동으로 “main”이 생성되며, 기존 “master”를 그대로 두면 혼란이 발생합니다.
실전 예시
- 기존 저장소: INLINECODE0 → INLINECODE1 생성
- 새 저장소: INLINECODE2 → INLINECODE3 생성
2. 기존 저장소를 “main”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4단계
- 브랜치 이름 바꾸기
CODEBLOCK0
- 원격 저장소에 푸시
CODEBLOCK1
- 원격 기본 브랜치 업데이트
CODEBLOCK2
- 기존 참조 정리
CODEBLOCK3
팁
- 백업: 마이그레이션 전 INLINECODE4로 현재 상태를 기록합니다.
- CI/CD: 파이프라인 설정 파일에서 INLINECODE5를 INLINECODE6으로 교체합니다.
- 협업: 팀에 공지하고, Pull Request 템플릿을 업데이트합니다.
3. Git 설정으로 기본 브랜치 지정하기
Git 3.0은 전역 설정에서 기본 브랜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CODEBLOCK4
- 프로젝트별: INLINECODE7 파일에 INLINECODE8을 추가합니다.
- 자동화: 스크립트에서 INLINECODE9 앞에 위 명령을 삽입하면 새 저장소가 자동으로 “main”을 사용합니다.
주의점
- 기존 저장소를 새로 클론하면 자동으로 “main”이 생성됩니다.
- INLINECODE10는 여전히 “master”를 기본으로 할 수 있으니, 옵션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4. 흔히 겪는 문제와 해결책
- 문제: Pull Request가 “master”를 찾지 못함.
해결: PR 생성 시 “main” 브랜치를 선택하거나, INLINECODE11로 재배치를 수행합니다.
- 문제: CI가 “master”를 트리거하도록 설정돼 있음.
해결: INLINECODE12 파일에서 INLINECODE13의 브랜치 필터를 INLINECODE14으로 교체합니다.
- 문제: 서브모듈이 “master”를 가리킴.
해결: INLINECODE15 후, 서브모듈의 INLINECODE16 파일에서 브랜치 이름을 업데이트합니다.
결론
Git 3.0이 “main”을 기본 브랜치로 바꾸는 것은 포용성을 높이는 한편, 기존 저장소와 CI/CD 파이프라인에 영향을 미칩니다. 위 4단계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따라, 백업, 브랜치 명 변경, 원격 설정, CI 업데이트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안전하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INLINECODE17 명령을 실행해 보세요. 문제가 발생하면 주석을 남기고, 팀과 공유해 해결책을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