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3.0이 “main”을 기본으로 선택한 이유와 기존 “master” 브랜치 전환 가이드
2025년 11월 22일
Git 3.0이 “main”을 기본으로 선택한 이유와 기존 “master” 브랜치 전환 가이드
Git 3.0이 출시되면서 기본 브랜치 이름이 “master”에서 “main”로 변경됐습니다. 이 변화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기업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레포를 그대로 두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전환 방법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왜 Git 3.0이 “main”을 기본으로 선택했나요?
Git은 2023년 12월에 “main”을 기본으로 선언했습니다. 주요 이유는 포용적 언어를 사용하려는 움직임에 맞추기 위함입니다. 예시: GitHub은 2020년부터 “main”을 권장하고, 2023년 12월에 공식 문서에 반영했습니다.
- 포용성: “master”가 노예 문화를 연상시킬 수 있음
- 일관성: 대부분의 교육 자료가 “main”을 사용
- 기술적 이점: 브랜치 이름을 변경해도 기존 커밋 히스토리는 그대로 유지
실행 팁
- Git 3.0이 설치된 서버를 확인합니다.
- INLINECODE0으로 버전을 확인하고, INLINECODE1을 실행합니다.
- 팀 내에 변경 사항을 공지하고, 문서에 반영합니다.
2. 기존 “master” 브랜치를 “main”으로 전환하려면?
전환은 간단하지만, 절차를 잘못하면 충돌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시: 로컬 레포에서 INLINECODE2을 실행하면 로컬 브랜치가 바뀝니다.
- 로컬 전환: INLINECODE3
- 원격 전환: INLINECODE4 → INLINECODE5
- 레포 설정 업데이트: INLINECODE6
실행 팁
- 로컬에서 INLINECODE7로 현재 브랜치를 확인합니다.
- INLINECODE8로 이름을 바꿉니다.
- INLINECODE9으로 원격에 푸시하고, INLINECODE10로 원격 master를 삭제합니다.
- 팀원에게 새 브랜치 이름을 알려주고, 클론 주소를 업데이트하도록 합니다.
3. 전환이 레포에 미치는 영향과 최선 실천
전환 후에도 기존 커밋 히스토리는 그대로 남습니다. 그러나 CI/CD 파이프라인, 워크플로우 파일, 문서에 브랜치 이름이 하드코딩돼 있을 수 있습니다. 예시: GitHub Actions에서 INLINECODE11에 INLINECODE12가 설정돼 있으면, 새 브랜치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 CI/CD 설정: 워크플로우 파일을 열어 브랜치 이름을 “main”로 수정
- 문서 업데이트: README, CONTRIBUTING 등에 언급된 브랜치 이름 교체
- 팀 교육: 새 브랜치 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실행 팁
- GitHub Actions 파일에서 INLINECODE13를 INLINECODE14으로 바꿉니다.
- 문서 검색 도구를 활용해 “master”를 “main”로 대체합니다.
- 전환 전후에 INLINECODE15으로 커밋 히스토리를 비교합니다.
결론
- Git 3.0은 포용성을 위해 기본 브랜치를 “main”로 변경했습니다.
- 로컬과 원격에서 순차적으로 전환하면 충돌 없이 진행됩니다.
- CI/CD와 문서도 새 브랜치 이름에 맞게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INLINECODE16을 실행하고, 팀에 전환 계획을 공유해 보세요. 이전 레포가 있는 경우, 위 단계별 가이드를 따라 안전하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