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3.0이 “main”을 기본 브랜치로 바꾼 이유와 기존 저장소를 쉽게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2025년 11월 22일
Git 3.0이 “main”을 기본 브랜치로 바꾼 이유와 기존 저장소를 쉽게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2023년 10월, Git 3.0이 공개되었습니다. 이 버전에서 기본 브랜치 이름이 “master” 대신 “main”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명명 규칙이 아니라, 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려는 Git 커뮤니티의 의지를 반영합니다.
왜 Git 3.0이 “main” 을 기본으로 선택했나?
Git 3.0은 2022년 GitHub, GitLab, Bitbucket 등 주요 플랫폼이 “main” 을 권장한 뒤, 공식 릴리스에 반영했습니다.
- 포용성: “master”라는 용어가 과거 노예제와 연관이 있다는 비판이 있었음.
- 일관성: 대부분의 교육 자료가 “main” 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혼란을 줄이려는 목적이 있음.
- 자동화: CI/CD 파이프라인에서 “main” 을 기준으로 설정해 두면, 새 프로젝트 생성 시 자동으로 일관된 흐름이 생김.
실전 팁
- 문서 업데이트: README, CONTRIBUTING, CI 설정 파일에 “main” 으로 교체.
- 팀 미팅: 브랜치 정책을 재검토하고 새 규칙을 공유.
- 자동화 스크립트: 기존 스크립트에 “master” 를 “main” 으로 바꾸는 변환 스크립트 작성.
기존 저장소를 “main” 으로 전환하는 3단계
- 로컬에서 브랜치 이름 바꾸기
CODEBLOCK0
– 로컬에 “master” 가 없으면 새로 생성.
- 원격 저장소에 푸시
CODEBLOCK1
– 원격에 “main” 이 없으면 자동 생성.
- 기존 참조 업데이트
CODEBLOCK2
– GitHub, GitLab 등에서 기본 브랜치를 “main” 으로 지정.
주의할 점
- CI 설정: GitHub Actions, GitLab CI 파일에서 INLINECODE0 가 “main” 을 대상으로 하는지 확인.
- 서브모듈: 서브모듈이 있는 경우, 각 서브모듈에서도 동일한 절차 수행.
- 백업: 마이그레이션 전, INLINECODE1 로 전체 백업을 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론
Git 3.0은 기본 브랜치 이름을 “main” 으로 변경해 포용성과 일관성을 강화합니다. 위 3단계 명령어를 따라 기존 저장소를 빠르게 전환하고, CI/CD 파이프라인을 재검토하세요. 변경 후에는 팀원에게 새 브랜치 규칙을 공유하고, 문서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