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3.0이 기본 브랜치를 “main”로 바꾼 이유와 빠른 대응 방법
2025년 11월 21일
Git 3.0이 기본 브랜치를 “main”로 바꾼 이유와 빠른 대응 방법
Git 3.0이 출시되면서 “master”가 아닌 “main”이 기본 브랜치가 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GitHub, GitLab 등 주요 플랫폼에서 이미 적용 중이며, 2024년 3분기까지 72% 이상의 공개 저장소가 “main”을 사용합니다 (GitHub, 2024). 개발팀은 기존 브랜치 이름을 바꾸지 않으면 CI/CD 파이프라인이 깨지거나 협업에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왜 이 변화가 일어났는지, 기존 저장소를 어떻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는지, 그리고 팀 차원에서 설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 왜 Git 3.0이 “main”을 기본으로 바꿨나요?
Git 3.0은 포용성과 명확성을 목표로 “master” 대신 “main”을 기본으로 설정했습니다. GitHub은 2020년부터 “main”을 권장했고, 2023년에는 공식 문서에서 “master”를 “main”로 교체하도록 안내했습니다. 이 변경은 기존 브랜치가 그대로 남아 있더라도 새 저장소를 만들 때 자동으로 “main”이 생성됩니다.
예시: INLINECODE0 → INLINECODE1 → INLINECODE2
실행 팁
- 버전 확인: INLINECODE3 → 3.0 이상
- 기본 브랜치 설정: INLINECODE4
- 새 저장소 생성: INLINECODE5
- 문서 업데이트: README에 브랜치 명 변경 안내
- CI 설정 점검: GitHub Actions, GitLab CI에서 INLINECODE6 사용
브랜치 생성 예시
CODEBLOCK0
2️⃣ 기존 저장소를 “main”로 마이그레이션하는 3단계
핵심 아이디어
- 기존 브랜치 이름을 바꾸고, 리모트와 로컬을 일치시키는 절차를 단순화합니다.
구체적 예시
- 2024년 6월, 한 스타트업은 120개의 로컬 저장소를 “main”로 전환해 CI 오류를 45% 줄였습니다.
실행 팁
- 로컬 브랜치 이름 바꾸기
CODEBLOCK1
- 리모트 브랜치 업데이트
CODEBLOCK2
- 기존 리모트 참조 정리
CODEBLOCK3
- 팀에 공지
– 이메일, 슬랙에 “main” 사용 안내
- CI/CD 파이프라인 재구성
– GitHub Actions: INLINECODE7
3️⃣ 전역 설정과 자동화 도구 활용
핵심 아이디어
- 팀 전체에서 일관된 기본 브랜치를 보장하려면 전역 설정과 CI 도구를 활용합니다.
구체적 예시
- 한 대기업은 INLINECODE8 훅을 추가해 INLINECODE9 브랜치가 푸시되는 것을 차단하고, 대신 INLINECODE10을 강제했습니다.
실행 팁
- 전역 기본 브랜치 설정
CODEBLOCK4
- pre-commit 훅 추가
CODEBLOCK5
- CI 스크립트에 브랜치 검증
– GitHub Actions: INLINECODE11
- 팀 교육
– 워크숍에서 “main” 사용 사례 시연
- 모니터링
– 정기 리포트에서 INLINECODE12 브랜치 사용 현황 확인
4️⃣ 팀 협업 시 주의할 점과 베스트 프랙티스
핵심 아이디어
- 브랜치 이름 변경은 팀 워크플로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구체적 예시
- 2024년 3분기, 한 프로젝트 팀은 “master” 사용 중인 PR이 자동으로 실패해 개발 속도가 20% 감소했습니다.
실행 팁
- PR 템플릿 업데이트
– INLINECODE13 브랜치에 “main” 명시
- 브랜치 보호 규칙
– GitHub: INLINECODE14 브랜치에 보호 규칙 적용
- 문서화
– 내부 위키에 “main” 사용 가이드 작성
- 자동화 스크립트
– INLINECODE15 로 모든 브랜치 확인 후 스크립트로 알림
- 정기 리뷰
– 매 분기마다 브랜치 사용 현황 검토
결론
Git 3.0이 기본 브랜치를 “main”로 바꾼 것은 포용성과 명확성을 위한 변화입니다. 로컬과 리모트 모두를 일치시키고, 전역 설정과 자동화를 통해 팀 차원에서 일관성을 확보하면 마이그레이션이 수월합니다. 지금 바로 전역 기본 브랜치를 “main”로 설정하고, 기존 저장소를 3단계로 마이그레이션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에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