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3.0이 “main”을 기본 브랜치로 바꾼 이유와 즉시 적용 팁
2025년 11월 21일
Git 3.0이 “main”을 기본 브랜치로 바꾼 이유와 즉시 적용 팁
Git 3.0이 출시되면서 “master” 대신 “main”이 새로운 기본 브랜치가 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포용성을 강조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가 추구하는 언어의 중립성을 반영합니다. 하지만 기존 프로젝트를 그대로 두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즉시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1️⃣ 왜 “main”이 기본이 되었나?
Git 커뮤니티는 2020년부터 “master” 대신 “main”을 권장해 왔습니다. 구조적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포용성: “master”라는 용어가 역사적으로 부정적 의미를 포함합니다.
- 일관성: GitHub, GitLab 등 주요 플랫폼이 “main”을 기본으로 채택했습니다.
- 가독성: “main”은 프로젝트의 메인 라인을 직관적으로 나타냅니다.
2021년 GitHub 조사 결과, 88%의 신규 저장소가 “main”을 기본 브랜치로 선택했습니다.
2️⃣ 기존 저장소를 “main”로 전환하는 단계별 명령어
- 로컬 브랜치 이름 바꾸기
CODEBLOCK0
- 원격 저장소에 새 브랜치 푸시
CODEBLOCK1
- 원격 기본 브랜치 설정
CODEBLOCK2
- 기존 “master” 브랜치 삭제
CODEBLOCK3
- 협업자에게 알리기
– README에 “main” 사용 안내를 추가 – 팀 내부 문서에 브랜치 정책 업데이트
GitHub Actions 예시
CODEBLOCK4
결론
Git 3.0은 “main”을 기본으로 하여 포용성과 일관성을 강화했습니다. 위 명령어를 사용해 기존 저장소를 즉시 업데이트하고, 팀에 변경 사항을 공유하세요. 이제 “main” 브랜치로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해 보세요.